문화로 하나 된 세상. 예술로 꽃 피는 완주.
WANJU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식물과 기억” ❘ 함께 새기어 기록하기 ❘ 한지민 작가 오픈스튜디오 용진 ‘아트커뮤니케이션 완산가’에 입주한 한지민 작가의 오픈스튜디오가 8월 24일, 오후 두시에 열렸습니다. “식물과 기억”은 타지사람으로 경험한 3개월간의 완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다분히 제한적이고 개인적일 수 밖에 없는 시선에서 만들어내는 기록들은 수집하기와 그리기, 네트워킹, 그리고 결과물로서 마지막에 오픈스튜디오 형태로 공유되었습니다. 6월, 수집과 채집은 완주의 선택적 장소에 대한 자취의 기록입니다. 당초엔 3..
8월 23일 월요일 오전 9시부터 문화이장 통합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3, 4, 5기 모두 모여서 함께 얼굴보고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발열체크및 마스크 착용은 기본!! 모두모두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3, 4, 5기 문화이장님들이 모두 함께 모이는 첫 시간으로 재단 직원들과도 다함께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3,4,5기 문화이장이 처음 만나는 자리이기도 해서 말과 움직임으로 자신과 우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아이스브레이킹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어색하면서도 편안하게 서로간의 생각을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
지난 7월 28일부터 8월 18일, 매주 수요일날 진행되었던 농인·청인 문화예술활동 소통 프로그램 가 마무리되었습니다. 작년 는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농인과 청인이 서로를 경험하고 소통하는 시간이였다면, 는 농인과 청인이 서로가 가지고 있는 문화 차이를 함께 나누며 교감하고, 협력하고, 공감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청인들이 농인들을 만나기 전, 수어교실을 통해 수어를 익히고 배움으로서 단순한 실력 향상과 지식 전달의 목적보다는, 농인의 문화를 느껴보고 원활한 소통과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농인..
2021 완주 한 달 살기 '시즌 1' 결과공유전시 " 완주에서의 2,208시간, 그 일련의 기록" 완주는 처음이라며, 걱정 반 설레임 반으로 시작한 ‘완주 한 달 살기 레지던시 시즌 1’은 어느새 결과공유를 앞두고 있다. 작가들은 자신만의 눈으로 담고, 몸으로 직접 느낀 3개월, 2천 시간이 조금 넘는 기간을 각각의 스타일을 담은 기록물로 선보일 예정이다. 첫 시작은 화산 에버팜에서 레지던시를 진행한 ‘김명지, 이부성’ 작가팀으로 온라인전시를 8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간 운영한다. 패션디자인을 전공한 작가는 그간의 작업물 제작..
2021문화이장 5기 위촉식이 8월 2일(월) 9시 30분에(재)완주문화재단 커뮤니티실에서 열렸습니다. 오늘새롭게 위촉된 문화이장 5기 10명과 함께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앞으로 3년을 함께할 문화이장들이 서로 인사를하였습니다. '문화란 무엇인가?','문화이장이란 누구인가?'에 대해 심도 깊은 이야기도 나누었습니다. 5기 문화이장은 앞으로 8월부터 12월까지 10회에 걸친 역량강화 워크숍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3년간 주민들과 함께 활동을 하며 문화예술 통신사이자 생활문화매개자, 그리고 생활문화기획자로 활약할 문화이장님들의 앞날을 기대합니..
'2021 완주문화원탁회의'에서는 완주군 관내 문화예술기관·시설이 함께하는 '완주문화예술기관시설 원탁회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 진행된 '2021 완주문화예술 비대면 사업 이해 워크숍' 이후 2회의 기획회의를 가진 '완주문화예술기관시설 원탁회의'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사업 수요 증가에 따라 온라인 문화예술지도를 만들었는데요. 각 기관, 시설별로 운영하는 문화예술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SNS 채널을 한 곳에 모았습니다! 무더운 여름, 일상 가까이에서 문화예술을..
지난 4월에 시작된 지역문화기획자·활동가 릴레이 인터뷰가 7월 셋째 주 연재를 마지막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지역문화기획자·활동가 원탁회의에 참여한 17명의 문화기획자, 활동가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함께 모이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서로를 만나며 안부를 전했는데요. 릴레이 인터뷰에는 문화기획자, 활동가들의 활동뿐만 아니라 삶과 가치관, 앞으로의 고민까지 담겨있었습니다.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만난 참여자들은 완주뿐만 아니라 순창, 세종, 서울 등 지역을 넘나들고, 문화기획부터 문화예술교육, 사회적 기업까지 다..
TEL : 063-262-3955FAX : 063-262-3956 mail@wfac.or.kr